서비스란?
- A가 B에게 V를 준다.
- A: V를 일정하게 생산
- B: ‘상황’에 따라 V가 필요해진 자
- C: B의 상대적 가치
기획안
- 목적: 동기화
커뮤니케이션
- 상사: 경우의 수 마련, 미시적인 방법론
- 기획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객관적 근거, 해봤어?(난 페르소나가 되어 봤다)
- 디자이너: 목표와 목적만 공유한다.
- 개발자: UI명칭, 어떤사람이냐
- UI명칭 참고: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 input - [ ] - Output
- input을 가져가라
- 필승카드: 고객이 원한다. (설문조사나 통계자료를 제시하라)
IA (정보구조도)
- 서비스를 이루는 기능들이 어떤 형태대로 만들어져 있나요?
- 기능정의 (최소단위)
- 반대기능, 하위기능 생각해 보기
Flow-chart
- 피그잼 → 도형 → 연결 → 완
- 예외 상황이 발생하는 곳을 그린다.
- 처음과 끝을 정한다.
- 시간 순서대로 사건을 처음부터 끝까지 연결한다.
- 하나의 사건과 사건 사이에 ‘만약에’ 게임을 해본다. 마름모(선택)를 추가한다.
- 필수 기능은 맨 윗줄, 선택은 다음 줄에 놓임
- 하나의 시나리오일뿐 맹신하지 말자. 다른 사람과 동기화하기 위한 수단이다.
- Chart가 너무 커지면, 상황을 쪼개자. (하나의 기능 단위까지 쪼개자)
화면설계
- 화면이란? = 기획자가 의도한 연관성이 있는 기능들의 묶음
- 디자이너 분들과의 조율
- 기획자: 글 내용, 팝업 케이스, 화면의 구성요소
- 디자이너: 버튼의 모양, 글씨 위치, 레이아웃
- UI
- 사용자가 서비스를 인지하는 시각적 요소
- 플랫디자인: 흑/백, 틀만 존재
- 서비스의 시기별로 디자인이 달라야 한다.
- 초기에는 개성있는 서비스가 중요하다.
- 자주 사용하지 않는다면 개성있게 가자.
- 자주 사용하게 되면 플랫하게 가자.
- 잘 만든 UI란?
- 인지가 잘되면 된다.
- UI 종류
- Textview
- 텍스트를 보여주는 UI
- 어떤 글을 입력해야 하는지?
- 시스템화 여부
- O
- 어떤 규칙에 근거하여 바뀌는지 설명 기입
- X
- 그대로 기입 → 화면에 텍스트를 바로 기입 가능
- O
- 시스템화 여부
- Textfield
- 텍스트를 입력하는 UI
- 웹 → 키보드 연결, 모바일 → 키패드
- 키패드의 종류
- 이메일
- 비밀번호
- 넘버
- 언어
- 천지인
- 커스텀
- 키패드의 종류
- 특징: Placeholder (텍스트 입력란에 보이는 글, 텍스트를 입력하면 사라짐. )
- 모바일: 키보드 사라지는 시점 정의
- 글자 수, 금기어
- Button
- 클릭/터치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UI
- 디자인 타입
- 글씨형: 어떤글씨
- 이미지형: 어떤 이미지
- 이미지 + 텍스트형 : 배경이미지는 무엇?, 텍스트는 무엇?
- 활성화(작동) 여부
- O - 활성화 (디폴트)
- X - 비활성화 → 활성화 조건을 설명해야 한다.
- 이벤트: 눌리면 어떤 일들이 발생 되는지 작성
- Image
- 사진 또는 그림을 보여주는 UI
- 터치여부: N(디폴트) / Y
- Y일때: 이벤트 작성 - 버튼과 이미지의 차이는 눌렀을 때, 변화가 있는지 여부
- 이미지 크기, 용량, 확장자
- 디폴트 이미지 컨셉
- 이미지가 없을 때 그 자리에 뭐가 떠야 하는가?
- 이미지가 없을 때 그 자리에 뭐가 떠야 하는가?
- Textview
화면설계서는 정의서
- 항목
- 정보
- 사진
- 설명
- 정의서는 바뀌면 안된다.
프로토타입 (와이어프레임 & 스토리보드)
- Explore Community - Design resources
- 무료 템플릿 사용
Tags:
서비스기획_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