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bby - 남상도

보드게임 디자인(기획)

보드게임 시스템을 개발합니다. 새로운 보드게임을 만나면 언제나 흥미롭습니다. 2013년 보드게임 공모전에 참가한 것을 시작으로 시간이 될 때마다 보드게임 디자인(기획) 행사에 참여했습니다. 코로나 이후에는 시간이 없어 참여하기 어려워졌지만, 아직도 '보드게임' 이야기만 나오면 눈이 번뜩입니다. 

계기

카드 게임 '시타델'을 경험하고, '나도 이런 게임을 만들고 싶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내향적인 성격에 처음에는 주로 혼자 만들어 공모전에 나가거나, 웹 커뮤니티에 제 게임을 알리는 정도의 활동만 했었습니다. 그러다, 제가 올린 글에 '만나서 이야기 해보고 싶다.'는 댓글이 달렸고, 그분과 인연이 되어 창작 모임까지 만들었습니다. 모임 활동을 시작하면서 다양한 사람들을 알게 되고, 여러 정보들을 접하면서, 보드게임 부스 행사까지 참여할 수 있었습니다.


좋아하는 이유

'타인을 즐겁게 할 때의 만족감' 입니다. 다른 사람이 즐거워하는 모습을 보면, 저도 덩달아 즐거울 때가 많은데, 아마도 타인을 관찰하는 면이 강해서 그런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제 게임을 다른 사람이 즐겁게 할 때면, 기분이 짜릿합니다. 특히, 보드게임은 디자인(기획)만 하면 쉽게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해볼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어 더욱 매력적입니다.


활동 이력

2022.04 보드게임 페스타 - 작가존 참여

  • 마녀의 정원
  • 특징: 로드맨(2015) 리뉴얼
  • 목표: 기존 게임에서, 루트 변경으로 인해 계획이 물거품되는 부분 완전 제거. (공용보드판 대신 개인보드판 도입)
  • 장점: 타일 배치 과정에서 생각할 거리가 많다.
  • 단점: 게임 설명이 길다. 플레이어간 인터렉션이 적어 혼자 게임하는 것 같다. 


2018.05 보드게임 페스타 - 작가존 참여

  • 왕국의 탄생 (우주버전)
  • 특징: 기존 '왕국의 탄생' 번외작
  • 목표: 구성물을 최소화 하여, 단기간에 재개발
  • 장점: 작은 구성물로 생각할 거리가 많은 게임이다.
  • 단점: 기물(게임말) 사용이 복잡하다.


2018.05 비콘(아마추어 전시회) 참가

  • 왕국의 탄생
  • 특징: 과거(2013) 작품 리뉴얼
  • 목표: 리플레이성을 높이기 위해, 카드 및 토큰 추가. 작은 단위의 목표 추가
  • 장점: 시선을 사로 잡는 컴포넌트
  • 단점: 게임 설명이 길다. 작은 단위의 목표를 추가 했지만, 게임 구성물에 비해 그만큼의 재미를 주지 못한다. 기물(게임말)을 이동하는 방식은 현재 트렌드에 맞지 않는다.


2015.08 비콘 공동 참가 - 특별상 수상

  • 사이언스
  • 특징: 처음으로 공동 개발
  • 목표: 비콘 참가에 의의
  • 장점: 카드 전략 게임으로 완성도가 있다.
  • 단점: 게임 시작 전 카드의 내용을 숙지해야 한다.



2015.07 보드엠파티 - 작가존 참여

  • 로드맨
  • 특징: 이웃게임(빠른 길 찾기) 업그레이드 버전
  • 목표: 기존 게임에서, 루트 변경으로 인해 계획이 물거품되는 부분 줄이기
  • 장점: 길찾기 난도는 낮추고 카드를 추가하면서, 좀 더 대중적인 느낌을 전달했다.
  • 단점: 적당한 재미는 갖추었지만, 이 게임만의 확실한 매력 포인트가 없다.


2014.09 비콘 참가

  • 이웃게임
  • 특징: 처음으로 오프라인 행사장 부스를 빌려, 일반인 대상으로 테스트함
  • 목표: 이전에 볼 수 없었던 방식의 주사위 사용 게임
  • 장점: 빠른 길을 찾는 재미가 있다.
  • 단점: 겉모습에 비해 실제 플레이는 생각을 많이 해야하는 게임으로, 기대했던 것과 결과가 달라 이질감을 전달한다. 생각하는 게임치고, 계획이 물거품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한다.



2013 코리아보드게임즈 공모전 참가

  • 왕국의 탄생
  • 특징: 성인이 되어 처음 만든 작품
  • 목표: 고전 게임인 바둑과 장기의 장점은 가져오면서, 진입장벽은 낮출 수 있는 게임
  • 장점: 기물을 사용한 게임치고 설명이 쉽다. 게임 종료 시점에 하이라이트가 존재한다. 
  • 단점: 게임 종료시점에 비해, 초반에는 의욕이 생기지 않는다. 리플레이성이 낮다. 



Prezi 발표자료 (201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