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기획 방법론 - 새싹 교육

1. 사용자 중심 디자인

  • UCD - User Centered Design
    사용자를 디자인에 개입시켜라!

  • UCD 프로세스
    연구 및 분석 > 전략 수립 > 설계 > 개발 > 구현 및 테스트

  • UCD(과정)을 거쳐서 UX(결과)가 만들어 진다.


2. 디자인 씽킹

  • 공감적 태도로 문제를 해결한다.

  • 공감 능력 > 아이디어 발상 > 아이디어 시각화

  • 디자인 씽킹 5단계

  • 디자인 씽킹 사례



  • 인스타 VS 틱톡
    • 당시에 '코로나'가 유행했던 것을 인지해야 한다.
    • 해당 브랜드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 인스타 - 후기 위주의 사진, 박제하다. -> 야외 활동 제한으로 후기를 올리기 어렵다.
    • 틱톡 - 짧은 일상 영상, 휘발성 -> 꾸미지 않고 찍어도 된다.
  • 스타벅스의 사이렌 오더
    손님이 올 때, 직원이 가장 많이 말하는 단어 <자리 맡으셨어요? 자리 맡고 주문하세요> 를 줄이기 위해, 고객이 매장에 들어오면 자리부터 앉고 주문하도록 유도.

     

3. 서비스 기획 방법론

  • 육하원칙:

    왜: 나의 입장과 사용자 입장을 나눠서 생각해 보자.


  • 더블 다이아몬드:

    발견 - 자료가 많아지는 과정
    개발 - 아이디어가 많아지는 과정


  • 문화 이해하기
    • 지리적 문화
    • 세대 문화

  • 다양한 니즈

  • 선택과 집중
    • 한 번에 적은 양의 정보만 처리한다.

  • 선택 미루기
    • 사용자는 당장 해결되기를 원한다.

  • 지키고 싶은 습관
    • 습관화된 행위는 지켜지길 원한다.

  • 공간 기억
    • 위치와 공간으로 자신만의 방법을 만든다.
    • EX: '확인' 버튼은 맨 아래 있다.

  • 동기 부여
    • 고객이 자주 방문하고 싶은 이유

  • 모두가 좋아하는 보상
    • 얼마나 자주
    • 어떻게 주어지는가

  • 예측 결과에 대한 기대감
    • 조작이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기대감

  • 실수를 인정하는 용기
    • 에러페이지에 신경 쓴다.
    • 사용자 오입력시, 손쉽게 수정하도록 한다.
    • 사용자 오입력시, 바로 알려준다.

  • 이미지를 결정하는 첫인상


4. PROJECT 모델

  • 친숙한 방식
    : 아이콘, 버튼위치

  • 도달 가능성
    : 쉬운 UI

  • 분명한 목적
    : 해당 서비스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 즐거운 경험

  • 직관성
    : 직관적인 명칭, WRITING, 브랜드에서 느껴지는 명칭

  • 핵심서비스 최소화
    : MVP 설계

  • 시간절약
    : 빠른 기능, 빠른 프로세스, 메뉴 간소화, 하드웨어 성능향상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