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애널리틱스(2/2) - Sesac 서비스기획

0. 데모 데이터 사용하기

  • 구글에 '구글 애널리틱스 데모 계정' 검색
  • '데모 계정 엑세스'에서 'Google 애널리틱스 4 속성: Google Merchandise Store(웹 데이터)' 클릭


1. 홈

  • 상단 검색창 활용
    : 기능이 업데이트 되었을 때 바로 설정으로 이동

  • 우측 상단 물음표(추가도움말-문의하기)
    : 채팅 및 이메일로 문의

  • 홈 - 어떤 기능들이 있는지 살펴볼 수 있다. (실무에서 사용X)
    • 유용한 정보 - 추후 발전될 가능성 있는 메뉴

  • 보고서 - 표를 포함 리포트

  • 탐색 - 커스터마이징 보고서

  • 광고 - 디지털 마케팅 진행 후, 매체 기여 및 전환 힌트

  • 관리 
    • 데이터 수집 및 수정
    • 데이터 표시


2. 보고서

  •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보고서

  • 보고서 개요 - 카드별 요약. 화살표를 눌러 선택지 수정 가능.

  • 실시간
    • 동접자 수가 중요한 곳에서 주로 사용

    • 이벤트 이름 별 이벤트 수
      : 설정한 이벤트가 제대로 작동되는지 점검

    • 우측 상단 '사용자 개요 보기' (스냅샷)
      • 임의의 사용자 1명을 선정하여, 액션을 상세 확인.
      • 디버그 뷰와 유사 (디버그 뷰: 내 행동에 대한 액션을 상세 확인)
      • 좌측 구슬: 분별로 액션 수를 보여줌
      • 중앙 구슬: 초별로 액션 수를 구분
      • 우측 이벤트: 여러 액션에 대한 통계

  • 카테고리 구조
    : 컬렉션 > 주제 > 보고서

  • 엑셀 추출을 하고 싶은 경우, 탐색 보고서를 만들어야 한다.
    ( 우측 상단에 버튼 클릭: 이 보고서를 분석으로 내보내기 )

  • 비교 추가: 세그먼트(각각분석) 추가

  • 필터 추가


2-1. User

  • 사용자 속성 - 인구통계 세부정보

    • 사용자 정보 기준으로 분석

    • 사용자당 참여 세션수가 적은 이유: 전체 세션 중에 세션 초기화를 반영했기 때문

    • 비 가입자의 방문 정보는 어떻게 판단할까?
      • 브라우저 로그인 정보를 활용 - 구글계정/개인정보보호관리/Google내활동
      • 확률 데이터 활용 - 사이트 사용 형태에 따라 남/여, 나이 등을 추정

    • 날짜 기간별 비교
      • 3월달과 4월달 비교
      • 우측 상단 기간 클릭 -> 비교 on -> 맞춤 클릭 -> 2개 기간 설정

    • Unknown: 구글 측정 방법에서 알 수 없는 사용자. 데이터 분석시 제외한다.

    • 측정기준은 '성별' 과 '연령'을 주로 사용한다.

    • 측정기준의 '관심 분야'는 구글의 Ads 리스트와 동일하다.


  • 사용자 속성 - Audiences

    • 측정 기준을 리스트에서 선택하지 않고, 본인이 조건을 걸어 그룹화 할 수 있다.

    • 잠재 고객을 규정하여, 데이터 분석하는 경우 사용한다.


  • 기술 - 세부정보

    • 기기별로 분석

    • 고관여 제품(신중하게 구매하는 고가)은 desktop으로 구매하는 편이다.

    • 측정 기준 - 기기모델 / 화면 해상도
      : 신규 서비스가 한쪽 환경(웹)에만 최적화 되었다면, 나머지 환경에 대한 최적화 개발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2-2. Life cycle

  • 획득 - 트래픽 획득 / 사용자 획득

    • 트래픽과 사용자의 차이는 측정 항목의 차이.
      (전체 사용자) vs (새 사용자)

    • 세션 기본 -  구글에서 정한 측정 기준

    • 소스/매체 - UTM 활용

    • 유입 방법을 인식하는 우선순위
      1)UTM, 2)referrer, 3)direct_직접및pdf
      ex) 브라우저에서 F12를 눌러, Document.referrer을 입력하면 어떻게 유입되었는지 알 수 있다.

    • direct 비중이 30%이상 이라는 것은 적절한 이벤트 추가가 되지 않았거나,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 유실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ex) 사용자가 접속하고 난 뒤에 웹에서 새로고침을 일으켜, 유입 방법 데이터가 수집되지 않음.


  • 참여도 - 페이지 및 화면

    • 페이지 단위로 분석

    • 만약 페이지 제목으로 분석하고 한다면, 페이지 별 페이지 제목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 먼저 확인이 필요하다. ( html 코드 상에 title 태그로도 확인 가능 )


  • 참여도 - 방문 페이지

    • 랜딩 페이지 기준으로 확인

    • 랜딩 페이지: 사용자가 처음으로 접속하는 페이지


  • 수익창출

    • 전자상거래 구매
      : 쇼핑몰이라면 구매 항목 기준으로 분석


  • 유지

    • 꾸준히 접속한 사람들

    • 평생가치(LTV) - 한 명의 사용자가 일으키는 매출


3. 탐색

  • 보고서를 커스터마이징 한다.

  • 좌측 변수 부분에 측정기준(세로), 측정항목(가로) 를 설정한다.

3-1. 자유형식

  • 행과 열을 선택

  • 시작 행/열
    : 정렬시, 너무 높거나 낮은 비중을 차지하여, 비중을 확인할 때 방해가 되는 경우 제외한다.

  • 셀유형
    : 텍스트에 데코레이션 추가 ( 차트 및 색상)

3-2. 유입경로 탐색

  • '단계'로 경로 단계를 만들어, 각 단계별로 분석한다.

  • 1단계와 비교한 비율 vs 완료율
    : [1단계 -> N단계] vs [전단계 -> 다음단계]

  • 개방형 유입경로 만들기:
    : 중간 단계부터 유입된 사람도 통계에 포함시킴

  • 경과시간 표시
    : 다음 단계까지 도달한 시간.
    절대 값은 활용하기 애매하지만, 개선 후 상대치 비교로는 사용할 수 있다.

3-3. 경로 탐색 분석

  • 내가 생각하지 못했던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 다시 시작
    : 종료점을 선택하여, 해당 이벤트 및 페이지에 도달하기까지의 경로를 역순으로 탐색할 수 있다. (Default: session_start)

  • 고유한 노드만 보기
    : 동일 노드 내에서 이동한 경우 별도로 구분하지 않는다. (ex: 상세페이지에서 상세페이지로 이동한 경우)

3-4. 동일 집단 탐색 분석

  • 동일 집단을 생성 기간 별로 분석한다.

  • 동일 집단 포함
    : 집단으로 묶는 기준

  • 재방문 기준
    : 다음 기간에도 유의미하다고 인정하는 기준

  • 계산
    : 일반 - 첫째 주에 최초 방문한 뒤, 한 주를 건너 뛰고 방문한 것도 인정
      최근 -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방문한 것만 인정

3-5. 세그먼트 중복분석

  • 여러 세그먼트 간에 상호 관계를 분석한다.
    : 유의미한 세그먼트를 '타겟팅'으로 삼아서 마케팅한다.

  • 좌측 변수 부분에 세그먼트 추가

  • 값 입력
    : ex) 활성 사용자, 참여율, 세션당 평균 참여시간

  • 유의미한 값을 확인하여, 교집합 세그먼트를 활용한다.
    : 표에서 교집합 세그먼트 우클릭 -> 선택항목으로 세그먼트 만들기 -> 잠재고객 만들기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