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UX 전략 수립하기
- UX 전략은 비즈니스와 UX 관점에서의 상호 보완적인 조화다.1. 비즈니스 전략: 비즈니스팀과 협업을 통해 기업 전략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사용자 경험을 디자인한다.
2. 가치혁신: 비용은 줄이고 고객 가치는 상승할 수 있는 전략을 만든다.
3. 탄탄한 사용자 조사: 기업의 전략적 사고를 뒷받침할 수 있는 사용자 조사가 올바르게 진행되고 있는지 점검한다.
4. 뛰어난 UX 디자인: 효율성, 감성, 스토리텔링 모두를 만족시키는 뛰어난 디자인과 디자이너들의 역할이 중요하다.
나. UX 전략의 표현
- 현재사진: 현재의 상황과 상태를 보여줄 수 있는 사진 자료.
- 미래 비전: 희망하는 미래의 모습을 보여주며 '어디로 가고자 하는가?'에 대한 답.
- 로드맵: 미래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경로와 방법, 과정을 상세히 묘사.
- 측정 도구: 목표에 가까워졌는지 확인할 수 있는 도구.
다. 아토믹 디자인 - 디자인 시스템의 일관성 관리
- 원자: 상호작용의 기본 단위
- 분자: 재사용이 가능한 원자의 결합
- 유기체: 재사용이 가능한 분자의 결합
- 템플릿: 유기체의 결합. 재사용이 가능한 페이지의 레이아웃
라. AIDA 법칙 - 인지적/정서적 프로세스
마. UX 트랜스포메이션
- 사용자 경험이 새로운 양상, 경제모델, 기업을 바꾼다.
UX팀 만들기 및 핵심역할
바. 능률적인 조직
- 제품 디자인팀:
하나의 제품에 프로덕트 매니저, 디자이너, 개발자, 품질보증담당자가 스쿼드로 구성되어 움직임.
- 브랜드 전략팀:
외부의 요청사항을 처리. 광고, 홍보, 마케팅을 기획. 디자인시스템의 핵심요소 관리. 고객의 모든 접점에서 일관성 관리.
- 사용자 조사팀:
스쿼드의 사용자 조사 업무 서포트. 참가자 모집, 테스트 프로세스 기획 등
사. 조직의 성숙도 평가
1. 생산자형(41%): 디자인이 화면상에서 이뤄진다. (가장 미성숙)
2. 커넥터형(21%): 디자인이 워크숍에서 이루어진다.
3. 설계자형(21%): 디자인이 표준화되어 있으며, 스스로 발전한다.
4. 과학자형(12%): 디자인은 가설과 실험의 연속이다.
5. 선구자형(5%): 디자인이 비지니스 전략이 된다. (가장 성숙)
아. 디자인 윤리
디자이너는 자신이 하는 일의 영향력과 사회적 책임을 고려해야 한다. (중독성 있는 디자인으로 사람을 끌어들여, 사람을 판단 불가한 바보로 만드는 디자인이 과연 올바른 디자인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