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로덕트는 무엇인가?
2. PM과 PO
- PO: 다른 Product와 연계할 필요가 없는 단일 제품 조직
- PM: Product 간 연계가 필요한 경우. 크고 복잡한 조직
3. 현업에서의 PM 역할 혼란
- PM으로 채용됐지만 PO역할만 요구받는 경우
- PM인데 잡일만 하는 경우
4. PM의 역할과 경제적 맥락
- 호황기: PM은 제품 개발과 혁신을 리드합니다. B2C
- 불황기: 기존 제품 유지와 비용 최적화에 집중합니다. B2B
- 시장변화: PM은 경제와 시장 흐름을 읽고 대응해야 합니다.
5. 제품의 성숙 주기에 따른 PM의 역할
- 제품이 성숙할 수록 PM의 역할은 단순해 진다.
6. 현업 사례 : '일반인 배송' 새로운 수익화
- A사는 어떤 전략을 세워야 할까?
- 유저 분석을 통한 전략
- 프로덕트 로드맵
7. PM이 잡일 담당자로 전락하지 않으려면
비지니스 목표 이해
- 이 일이 비즈니스 목표와 연결되는가?
- 비지니스 목표를 자신있게 말할 수 있어야 한다.
방향성 공유
- 왜 이 일을 하는가?
- 구성원 설득
우선순위 설정
- 전략적 업무에 집중하기
8. PM이 가져야 할 역량
집요한 질문
본질을 찾을 때까지 계속해서 질문
회복 탄력성
실패를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성장
AI 활용
나만 줄 수 있는 가치 확립
9. Value Proposition
10. 추천툴
- AI
- Make, Cursor, Copilot
- Windsurf
- Gamma
- Note
- Milanote, Craft-Do
Tags:
진로정보_직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