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AI 활용하기 - Gseek

경기도평생학습포털에서 검색한 온라인 강좌 '생성형AI 활용하기 (디지털배움터)'. 영상은 유튜브 링크로 되어 있는데, 업로드 날짜를 확인해 보니, 2024년 1월 인 듯 하다.

생성형AI의 원리나 최신 트렌드 등을 살펴보려고 수강했다. 확실히 1강은 AI의 원리 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나, 2~3강은 일반인들이 생성형 AI를 활용하는 간단한 예시 정도를 설명하는 부분이라서 큰 도움은 되지 않았던 것 같다.


1. 생성형 인공지능의 원리와 한계

a. 생성형 AI의 개념 및 원리

기계학습(머신러닝) - 데이터를 입력받아 학습하여 규칙을 발견하는 인공지능 분야

  • 지도학습: 문제와 정답을 모두 알려주고 학습
  • 비지도학습: 문제만 알려 주고 학습 (OTT, 쇼핑몰의 추천 기능)
  • 강화학습 - 환경과 상호작용하여 상/벌 여부에 따라 학습 (ex:알파고)

비지도학습 - 생성형 AI

  • 그림, 음악, 글 -> 데이터 학습 -> 규칙 탐색 -> 새로운 결과물
  • 인공지능 환각 현상 - 존재하지 않는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생성형 AI의 결과물은 검증단계가 필요하다.)

생성적 대립신경망

  • 생성자 <-> 판별자
  • 생성자가 만들어낸 결과물을 판별자가 판별함. 생성자는 판별할 수 없는 결과물을 만들기 위해 스스로 학습함. 판별자의 판별 능력을 계속해서 향상 시킴. 반복과정 속에서 판별자가 더이상 판별이 불가능 한 경우, 학습이 종료됨.
  • EX: 얼굴 보정, 이미지 생성

생성형 AI의 원리

  • 워드임베팅: 텍스트 -> 숫자 (ex: 구글의 트랜스포머)
  • 인고더(텍스트이해) & 디코더(텍스트출력)

b. 생성형 AI의 활용과 저작권 문제

텍스트 생성형 AI 활용

  • 기사 세 줄 요약 서비스
  • 지진 속보 작성 (LA타임즈의 퀘이크봇)
  • 날씨나 스포츠 기사 작성
  • 광고 카피 생성형 AI
  • 프로그램 코드 작성 AI

이미지 소리 생성형 AI

  • 게임 개발에 활용 (캐릭터 자동생성)
  • 작곡/편곡 생성형 AI (멜로디, 장르, 스타일에 따라 작업)

저작권 문제

  • 원작자의 동의 없는 스크래핑 및 인공지능 학습. 학습한 인공지능의 수익화.
  • 법 체계가 명확하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 사람이 학습할 때는 적용되지 않지만, 인공지능이 학습할 때에 적용하는 법 등.
  • 1884년 카메라로 찍은 사진에 대한 저작권 여부. - 카메라의 결과물을 저작권 인정해야 하는가? 카메라 행위의 주체를 사람으로 보면 저작권 인정. 
  • 2011년 원숭이가 찍은 사진에 대한 저작권 여부. - 원숭이의 행동을 유도했기 때문에 저작권을 인정해야 하는가? 결과물의 주체를 원숭이로 보았기 때문에 저작권 인정 못함.
  • '이봄' : 광주과학기술원 개발 작곡 인공지능 - 30만여 작곡, 3만 곡 판매. 6억원 수익. 2022년 7월 한국음악저작권협회가 저작권료 지급 중지. 우리나라 저작권 법은 저작물을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로 규정.

생성형 AI의 문제

  • 잘못된 답변을 하는 경우
  • 생성형 AI가 범죄에 사용되는 경우 (페이크 얼굴 및 목소리)

2. 다양한 생성형 AI탐색

a. 다양한 생성형 AI 서비스

ChatGPT

  • OpenAI에서 2023.03.14, GPT4 출시
  • 일반적이고 복잡한 질문에 대한 답변 제공
  • 구체적인 정보에 한계 존재

Gemini(구 Bard)

  • Google에서 2023.03, 제작
  • LaMDA와 PaLM을 기반으로 만든 인공지능 검색 엔진 서비스
  • 섬세한 튜닝
  • 특정 상황에서 사용 가능 범위 제한

Bing Chat

  • MS에서 2023.02, OpenAI와 제휴해서 만든 GPT4기반 검색엔진
  • 프로메테우스 모델
  •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나 대화 능력에 한계

하이퍼클로바 X

  • 네이버에서 개발한 하이퍼클로바를 2021.05,  한국어 기반 데이터 학습 강화한 모델
  • AI캐릭터를 활용한 상호작용 가능
  • 서비스 범위 제한적

AskUp

  • 카카오에서 제공하는 대화형 AI 플랫폼
  • 사용자가 원하는 지식 제공
  • 자세한 도메인 지식 필요 시 응답 미비

b. 유형별로 살펴보는 생성형 AI

대화(텍스트) 생성형 AI

  • ChatGPT
    : 입력 질문(내용)을 '프롬프트' 라고 한다.
  • 뤼튼(wrn)
    : 대화 생성, 이미지 생성, 나만의 인공지능(AI) 제작 등 한국에 최적화된 생성형 AI 서비스 제공. 일반모드vs검색모드 존재, pdf파일 업로드, 코드검색.
  • Gemini(구 Bard)
    : 답변이 짧고 간결하며, 핵심적인 내용을 최신 정보로 제공.

이미지 생성형 AI

  • Stable Diffusion
    :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오픈 소스 무료 서비스
  • Microsoft Designer

음악 생성형 AI

  • SOUNDRAW
    : 저작권 없는 음악을 만들어 줌. 다른 곳에 사용하려면 유료 구독 필요

프롬프트

  • 프롬프트: 방송에서 원고나 가사를 띄워주는 장치
  • AI에서 프롬프트: 인간의 언어 자연어 입력값
  • 프롬프트 구성요소
    • 지시
    • 맥락/문맥
    • 입력데이터
    • 출력지시자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 적절한 프롬프트를 작성
  • 프롬프트 공유/거래 웹사이트
    • 프롬프트 베이스
    • 뉴트론필드
    • 프롬프트시

3. 생성형 AI 활용하기

a. 문서 작성 및 마케팅 분야에서 활용하기

문서

  • 개요구성 및 초안작성 등에 활용
  • 양식(작성방법 및 목차)을 알려주고 양식에 맞게 작성하게 한다.
  • 자료의 유형: 글자, 숫자, 그림, 소리
  • bing 활용하기 - 검색엔진의 결과를 대화 형식으로 결과물 확인

마케팅

  • 제품/서비스를 사용할 고객층 설정
  • 서비스의 목표와 가치 반

b. 교육 및 예술 분야에서 활용하기

교육

  • 영어 대화
  • 영어로 작문하고 검토 받기

예술

  • 브레인스토밍 하기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