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제품을 만드는 과정과 PM/PO의 역할 (김동욱) - Sesac

1. 좋은 제품이란

  • 고객을 만족시키면서, 돈을 많이 벌어다 주는 제품
    : 고객의 문제를 잘 풀어줘서 계속 쓰고 싶고, 돈을 내서라도 쓰고 싶은 제품

  • PM/PO의 역할
    : 고객이 쓰고 싶은 제품 만들기

  • PM/PO의 책임
    : 고객과 사업에 가치 창출

ex1) 토스는 이체 수수료를 없애고 편리성을 높였다. 뱅크샐러드는 통장과 카드를 한 곳에 모아 원스톱 자산 관리를 제공한다. 토스는 서비스 편리성을 일정 수준까지 높이기 위해, 수익화를 미뤘다. 뱅크샐러드는 수익화하기 위해 금융 상품을 추천하기 시작했다. 고객의 확실한 추천을 하기 시작했다. 

ex2) 여행하면서 고객이 겪는 문제. 예약 가능한 숙소, 가격, 투숙객 만족도. '여기어때'는 검색과 탐색을 편리하게 만듦. 보기 편한 UI를 만들기 위해 30번의 실험을 거침


  • 기회 포착: 고객의 니즈는 무엇이고 걸림돌은 무엇일까?
    - 사용자 리서치, 사용자 행동 데이터 분석, 기대효과 선정

  • 가설 수립: 이렇게 하면 해결될 것 같다.
    - 유저 스토리 설계, 솔루션판단, Metric Hierarchy 정의

  • 실행(=개발): 언제까지 누가 이렇게 구현해서, 이런 방법론으로 검증하자
    - 기획서 작성, 로드맵 관리, 커뮤니케이션

  • 가설 검증: 만족/불만족을 확인했으면 다음엔 이렇게 해보자
    - 결과 검증, 사용자 데이터 드릴다운, 러닝 도출 및 이터레이션

ex3) 마이크로소프트는 개발 과정 중 초기 제품 스펙의 30%의 수정, 개발 완료 후 20~25%의 삭제를 경험했다고 보고했다.

ex4) 쿠팡의 반품 상품 판매. 고객이 반품 상품을 구입하지 않은 이유. 반품 제품의 가시성 부족. 고객 신뢰 정책들과 검수 과정 인지 부족.


  • 로드맵의 구성요소
    • Who 누가
    • What 무엇을
    • When 언제
    • How 어떻게
    • Progress 진행 현황

  • 커뮤니케이션
    • 일일 회의 (Scrum)
      • 회의록: 작업 | 내용 | 담당자 | 목표설정
      • 참석자: 회의진행자, 개발자(AOS, IOS, WEB), QA
      • 내용: 작업 우선순위, 진행상황 공유, 앞으로의 할 일(협업하는 사람들의 월급을 어떻게 쓸 것인가?)
    • 주/월간회의
    • 메시지
    • 회고/성과보고


2. PM/PO란

사용자를 공감하고 사용자/사업 가치창출의 최적의 접근을 찾아내서 실행하는 사람


3. PM/PO의 핵심 역량

  • 고객집착
    : 공감능력과 호기심이 많은 성향
    ex) 사용자 리서치, 탐색적 데이터 분석.
    q) 고객의 니즈와 걸림돌

  • 전략적 사고
    : 강한 비판적 & 논리적 사고 능력
    ex) 문제 정의, 가설 수립
    q) 가설 검증으로 사용자, 사업적 가치 창출

  • 실행력
    :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성향
    ex) 인적 자원 관리, 프로젝트 관리
    q) 최대한 빠르게 최소한의 자원을 투입해서 가설 검증 


4. 취업 Tip

이 회사는 왜 존재할까?

  • 시장에서 사용자가 돈내는 이유 (BM)
    • 법률서비스, 안 좋은 상황에 처한 고객들을 마주함

  • 주요 플레이어들의 미션
    • 쏘카 - 모든 사람이 자유롭고 행복하게 이동하는 세상을 만듭니다.
    • 여기어때 - 놀라운 경험이 삶에 끊이지 않도록 여행과 여가의 모든 경험을 연결합니다.
    • 에누마 - 전 세계의 모든 아이들이 자기의 속도대로 공부할 수 있는 미래를 만듭니다.

JD의 이해
  • 주요 업무
    • 할 일
      ex)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요구사항을 만듭니다. (페이히어 PM)
    • 정량적 역량의 근거 - 전공, 경력

  • 자격 요건
    • 기본
      ex) 문제 정의 및 실험 설계 & 실행을 통한 빠른 문제해결 및 Scale Up (부릉 PO)
    •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의 근거 - 다양한 사례, 조직 및 개인 경험

  • 우대 사항
    • 더 잘하기 위해 갖출 것
      ex) 컴퓨터 공학 또는 관련 전공의 학사 졸업자 (레브잇_올웨이즈 APS)
    • 유사 기술을 연마한 근거 - 교육, 부트캠프, 강의


5. 멘토링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