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이해
- 사용자 조사란?
: 고객의 선호도와 요구사항을 확인해서, 문제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 - 사용자
: 사용 중인 사람, 관심을 가진 사람, 사용 경험이 있는 사람 - 고객
: 목표로 하는 특정 행동을 한 사람. - 사용자 세분화
: 공통의 이슈를 갖고 있는 사용자들 끼리 분류 - 타깃 그룹 선정하기
- 데이터 기반: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류 - 프로젝트 목적:
- 코어타깃 설정
- 자사 및 경쟁사 서비스 경험 여부
- 서비스 디바이스에 대한 숙련도
- 서비스 이용 태도
- 서비스 이용 특성
사용자 조사 기법
- 게릴라 리서치
- 신규 서비스에 적합.
- 즉흥적인 참여자 행동을 관찰할 수 있다.
- 약식으로만 가능하다.
-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심층 인터뷰
- 인터뷰어의 역량이 중요하다
- 사용자에게 유연하게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추가 질문을 통해 세부 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
- 결과의 수치화, 일반화가 어렵다.
- 설문조사
- 3분 이내
- 10 ~ 20개 문항
- 인구통계학 정보부터 설문한다.
- 편향된 질문(답변 유도)이 없는지 확인한다.
- 포커스 그룹 인터뷰
- 토론 과정에서 아이디어를 생산한다.
- 헤비 유저를 대상으로 하는 편이다.
- 참여자를 잘못 구성하면 질적 결과를 얻기 어렵다.
- 참여자 모집 및 실행 방법
- 에이전트
- 직접모집
- 설문조사 툴
사용성 평가의 이해
- 휴리스틱평가
- 사용성 문제를 찾기 위해 3인 이상의 전문가가 평가
- 10가지 원칙을 기준으로 평가 진행
- 가시성
: 현 상태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가? - 현실 부합성
: 현실 세계와 직관적으로 일치하는가? (아이콘, 이미지의 맥락) - 사용자의 통제감
: 사용자가 자유롭게 컨트롤 가능한가? (easy모드) - 일관성
: 일관된 액션, 디자인 가이드 라인 - 오류 방지성
: 사용자들의 오류 예방, 최소화 - 인지 가능성
: 사용자 기억 최소화, 직관적 정보제공 - 유연성과 효율성
: 사용의 유연함과 효율성, 빠른 전환 및 이동 - 심미성 최소주의
: 미니멀리즘 - 사용자의 오류 해결
: 사용자가 오류를 인지하고 조치할 수 있는 설계 - 정보 제공성
: 기능을 익힐 수 있는 가이드라인
Tags:
서비스기획_교육